산행/산행 자료 37

運炭高道 雲坦高道

運炭高道 雲坦高道 석탄을 나르던 높은 길, 구름이 양탄자처럼 펼쳐져 있는 고원의 길 운탄길은 말 그대로 '석탄을 운반하는 길'이다. 정선 일대에서 무연탄이 생산되면서 이를 옮기기 위해 산자락에 길을 냈다. 백운산 두위봉을 지나는 이 길들은 정선 신동의 예미까지 이어진다. 산 허리를 구불구불 휘감는 길은 곳곳의 갱도를 잇고 달리느라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다. 전체 길이가 80km를 넘는다. 함백산(1573m) 백운산(1426m) 일대엔 '석탄 운반길(운탄길·運炭路)'이 있다. 산잔등, 산허리(해발평균 960m)에 200리(약 80km)나 되는 길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 석탄 캐던 갱도가 개미굴처럼 뚫려 있다. 산을 잘게 썰면, 구멍 숭숭 뚫린 연밥이 된다. 불을 때면 '빨갛게 달아오른 19공탄'이 된다. ..

쉰움산 · 두타산· 베틀바위 산성길

쉰움산 · 두타산 · 베틀바위 산성길 삼척터미널에서 천은사 내미로리리 가는 버스 6시 20분, 8시 30분, 12시 50분, 15: 00, 18시 10분, 종점에서 내린다. 약 25분 걸리며, 도착하자마자 삼척시내를 향해 떠난다. 1,100원. 강원여객 033-574-2686. 5월 초 천은사 입구의 두타순두부집(033-572-9484) 미로면 내미로리, 미로정원 사무국 033-575-4846 쉰움산 천은사~ 쉰움산 2km/ 쉰움산~ 두타산성 갈림길 3.6km 두타산성 갈림길~ 두타산 1.9km/ 두타산~ 박달재 2.1km 박달재~ 쌍폭 3.2km/쌍폭~ 두타산성 갈림길 1km 산성 갈림길~ 매표소 1.9km 15.7km 천은사~ 쉰움산 2km/ 쉰움산~ 두타산성 갈림길 3.6km 두타산성 갈림길~ 두타..

마이산

http://blog.daum.net/munjoolle/193 ◈ 장거리 코스 ➀ 코스 : 마령(원강정) → 보흥사 → 광대봉 → 고금당 → 남부주차장 : 5.0km (3시간 ~ 3시간30분 소요) - 산불방지 기간중 폐쇄 고금당 → 전망대 → 봉두봉 → 탑사까지 : 7.3km ➁ 코스 : 합미성 → 광대봉 → 고금당(산불방지 기간중 폐쇄) → 전망대 → 봉두봉 → 탑사 → 남부주차장 : 9.9km ( 6 ~ 7 시간 소요) ➂ 코스 : 덕천교 → 태자굴 → 광대봉(3.1km) → 위 코스와 같음(산불방지기간 폐쇄) ※ 산행 소요 시간은 성인 기준 시간당 1.5 ~ 2.0km

함백산 태백산 분주령 매봉산 백운산

함백산 태백산 ▴ 태백산(1566.7m) - 강원도 삼척군과 경상북도 봉화군에 걸쳐있다. 우리말의 ‘한뫼[大光明]’의 뜻이다. 신라때는 토함산, 지리산, 계룡산, 팔공산 등과 함께 5악의 하나이었다. 해마다 봄, 가을 열흘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에 있다. 태백산 북쪽에 咸白山(1572.9m)이 있다. 본디의 태백산은 지금의 함백산이고, 지금의 태백산은 원 태백산이 길게 남북으로 흐르는 남쪽 한 봉우리이다. 에 “태백산의 서쪽에 옛 절터가 있으니 정암사라 한다.”고 하였다. 언제부터 남쪽 장군봉을 태백산으로, 본디 태백산을 함백산으로 부르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지금 태백산과 함백산의 맥을 갈라놓은 영월에서 태백시를 잇는 31번 국도인 화방재 때문으로 보인다. 0일제강점기에는 방화선이었는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