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陸史의 시 <喬木>과 <꽃>
喬木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마음은 아예 뉘우침이 아니라.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교목 이육사
|
|
꽃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쟎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에는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육사시집>, 1946.
'여백 > 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움을 노래한 시조 두 수 (0) | 2009.05.29 |
---|---|
이육사의 시 〈절정〉감상 (0) | 2009.05.23 |
조지훈의 시 석문과 서정주의 시 신부 (0) | 2009.05.23 |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황지우의 시 (0) | 2009.05.23 |
광야-이육사 (0) | 200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