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나들이 3/ 천은사와 화엄사- 2021년 3월 7일
● 천은사
천은사 일주문
수홍루
■ 천은사는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다.
신라 제42대 흥덕왕(826~ 836) 3년(828) 인도 승려 덕운이 창건하였다.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 하여 甘露寺라 했다 한다.
그 뒤 헌강왕 1년(875) 烟起 道詵이 중건했다.
고려 제25대 충렬왕(1274~ 1308) 때에는 남방제일선찰로 승격되었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몽땅 불타버렸다.
숙종 4년(1678) 袒裕 선사가 중건하여 천은사라 하였다.
이어 영조 50년(1774)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들은 대부분 이때 이루어진 것이다.
1678년 중건 당시 이 절의 샘가에는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났다.
한 승려가 이를 잡아 죽였더니 그 뒤로 샘에 물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므로 샘이 숨었다는 의미로 泉隱寺라고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그 뒤 이상하게도 이 절에 원인 모를 불이 자주 났다.
주민들은 절의 水氣를 지켜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 하여 두려워했다.
이 소식을 들은 圓嶠 李匡師(1705~ 1777)가 물이 흐르는 듯한 수체로 “지리산 천은사”라 쓴 현판을 일주문에 건 뒤로는 다시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새벽 고요한 시간에는 일주문 현판 글씨에서 물 흐르는 소리가 은은하게 들린다 한다.
일주문으로 들어가 수홍루를 지나 기념품 가게 앞에 감로수란 샘이 있다.
普濟樓 현판은 호남의 명필 蒼巖 李三晩(1770~ 1847)이 썼다.
천왕문
탑을 들고 있는 북방 다문천왕
극락보전
관음전
관음전 천수천안관세음보살
● 화엄사
화엄사 일주문
"지리산 화엄사" 현판
세로 글씨에는 "皇明崇禎九年歲舍丙子仲秋 義昌君珖書"라 쓰여있다.
"숭정 9년)의 "崇禎"은 명나라 마지막 황제 毅宗(1628~ 1644 재위)의 연호이다.
숭정 9년은 1636년이다.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 8월에 선조의 제8왕자 광(義昌君 珖, 1589~ 1645)이 썼다.
인조의 숙부이기도 한다.
한석봉 체의 필법이다.
화엄사 일주문은 1640년 벽암선사가 중건했고,
1866년에 지선스님과 화성스님이 보수하였으며,
1919년에 진응스님이 다시 보수한 후에,
상량문에 "智異山華嚴寺曺溪門重修緣起"라 썼다.
금강문
금강문, 사자를 탄 문수동자
천왕문
보제루
대웅전과 동오층석탑
대웅전 편액 관지에도 일주문과 같이
"皇明崇禎九年歲舍丙子仲秋 義昌君珖書"라 쓰여있다.
"숭정 9년)의 "崇禎"은 명나라 마지막 황제 毅宗(1628~ 1644 재위)의 연호이다.
숭정 9년은 1636년이다.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 8월에 선조의 제8왕자 광(義昌君 珖, 1589~ 1645)이,
일주문 편액과 같이 써서 내려준 것 강다.
각황전 · 각황전 앞 석등 · 서오층석탑
화엄사 홍매
화엄사 홍매는 1703년 각황전을 중건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계파스님이 심었다.
화엄사 홍매는 다른 홍매와 달리 홑꽃으로 꽃잎이 다섯 장이다.
다른 홍매보다 꽃 색깔이 검붉어서 흑매라고도 한다.
■ 호남5매
1. 백양사 고불매 350살 분홍
2. 화엄사 홍매
3. 담양 지실 옥매(계당매) 32그루. 계당은 송강의 4子
4. 전남대학교 홍매 겹꽃 50살
5. 선암사 무우전 돌담길 따라 20여그루
'문화유산 > 문화유산 답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림사 · 골굴사- 2021년 3월 21일 (0) | 2021.03.22 |
---|---|
오어사와 자장암- 2021년 3월 14일 (0) | 2021.03.15 |
밀양 나들이 2/ 위양지·꽃새미 마을·홍제사 표충비- 2021년 2월 28일 (0) | 2021.03.02 |
밀양 나들이 1/ 임경대 · 원동 매화마을 · 가야진사 · 작원관지 · 만어사- 2021년 2월 28일 (0) | 2021.03.02 |
경상남도 나들이 2/ 물건리 방조어부림, 항도마을, 미조항, 섬이정원, 지족해변, 초양도 휴게소- 2021년 2월 21일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