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일기

동부지구 사적지 · 계림 · 대릉원 · 황성공원 맥문동- 2024년 7월 25일

추연욱 2024. 7. 26. 19:45

 

 

동부지구 사적지 · 계림 · 대릉원 · 황성공원 맥문동- 2024년 7월 25일

 

 

 

월성 해자, 11시 25분

 

 

 

 

월성 垓子

해자는 성곽 둘레를 따라 땅을 파고 물을 담아 적이 쉽게 침범하지 못하도록 한 방어시설을 말한다.

 

신라 왕궁이었던 월성 남쪽으로는 남천, 북쪽으로는 해자로 조성되어 물에 의해 보호되었다.

월성은 <삼국사기>”101년 신라 제5대 왕인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았다라는 기사를 비롯해,

여러 문헌에 등장하지만,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 또는 해자와 같은 주위 시설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해자는 1984년 시굴조사를 통해 남천에 접한 남쪽면을 제외한 월성 주위로 둘러져 있으며,

해자 북쪽 외곽으로는 집터 등의 유구가 일부 드러나기도 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통해 월성 해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때를 기점으로,

그 모습과 기능이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

 

통일 전인 4~ 7세기에는 수혈 해자(땅을 파서 만든 해자)로서,

수로와 같은 모습이었으며 방어와 배수가 중요한 기능이었다.

그러나 삼국통일 후인 8세기 이후에는 석축 해자로 조성되었으며,

이전보다 규모가 축소되고 좁은 수로로 연결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연못 형태로 바뀌었다.

이 시기의 해자는 방어보다 조경의 의미가 강했다. 8~ 9세기 무렵 관청이 확장되면서,

해자는 더욱 축소되고 그 주변으로 여러 건물들이 세워졌다.

 

해자의 재현은 발굴된 원래의 해자를 훼손하지 않고 가장 잘 남아 있는 석축을 기준으로 한다는

기본 방향 아래 계획되었으며, 물을 담는 석축 해자로 2022년에 재현 · 정비되었다.

 

월성 해자는 월성의 옛 모습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동부지구 사적지대

 

 

 

 

 

 

 

 

 

 

 

 

 

 

 

 

 

 

 

 

 

 

목수국

 

 

 

 

 

 

 

 

 

 

 

 

 

 

 

 

 

 

 

 

 

 

 

 

 

 

 

 

 

 

 

 

 

계림

 

 

 

계림에는 온통 맥문동이 심어져 있는데,

아직 꽃 필 생각이 없는 듯하다.

 

 

 

 

 

 

 

 

 

 

 

 

 

 

 

 

 

 

 

 

내물왕릉

 

 

 

 

 

 

 

 

 

 

 

 

 

 

 

 

 

 

게림을 나와, 다시 동부지구 사적지대로

 

 

 

 

 

 

 

 

 

 

 

 

 

 

 

 

 

 

 

 

 

 

 

 

대릉원 정문, 12시 45분.

 

 

 

 

 

 

 

 

 

 

 

 

 

 

 

 

 

 

 

 

 

 

 

 

 

 

 

 

 

 

 

 

 

 

 

 

 

 

 

 

 

 

 

 

 

 

 

 

 

 

 

 

 

 

 

 

 

 

 

 

 

 

 

대릉원 후문으로 나왔다., 1시 10분

 

 

 

 

고속버스, 시외버스 터미널, 1시 30분.

 

 

 

 

1시 45분 출발 버스를 탔다.

 

황성공원 맥문동, 2시

 

 

 

 

 

 

 

 

 

 

 

 

맥문동은 별로다.

좀 이른 탓인지?

 

 

 

 

 

 

 

 

 

 

 

 

 

 

 

 

 

 

 

 

 

황성공원, 시립도서관 정류장, 2시 30분.

 

 

 

터미널 가는 버스는 2시 30분에 왔고,

터미널에서 2시 50분 버스를 타고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