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산행 후기

경주 남산 이무기능선- 2024년 6월 25일

추연욱 2024. 6. 25. 20:50

 

 

경주 남산 이무기능선- 2024년 6월 25일

- 용장골 탐방지원센터~ 천우사 입구~ (이무기능선)~ 고위봉~ 백운재~ 신선암 위 능선~

백운재~ 백운암~ 천룡사지~ 열반재~ 천우사~ 용장골 탐방지원센터 -

 

 

 

용장골 탐방지원센터, 6시 50분.

 

 

 

 

 

 

이 출렁다리를 건너 계속 가면 용장골로,

출렁다리 옆 탐방지원센터를 지나 임도를 따라 오르면,

이무기능선 진입구가 있는 천우사이다.

 

 

 

탐방지원센터 주변 꽃들을 즐기고,

 

 

 

 

 

 

 

 

 

 

 

 

 

 

 

 

 

 

 

 

 

 

천우사 입구, 여기가 이무기능선 진입구, 7시 5분.

 

 

 

 

 

 

 

 

 

 

 

 

 

 

 

 

 

 

 

 

 

 

 

 

 

 

 

 

 

 

 

 

 

 

 

 

 

 

 

 

 

 

 

 

 

 

 

 

 

 

 

 

 

 

 

 

 

 

 

 

 

 

 

 

 

 

 

 

 

 

 

 

 

 

 

 

 

 

 

 

 

 

 

 

 

 

 

 

 

 

 

 

 

 

 

 

 

 

 

 

 

 

 

 

 

 

 

 

 

 

 

 

 

 

 

 

 

 

 

 

 

 

 

 

 

 

 

 

 

 

 

 

 

 

 

 

 

바위 틈에 자리잡은 이 소나무, 건강해 보인다.

 

 

 

 

 

 

 

 

 

 

 

 

 

 

 

 

 

 

 

 

 

 

 

고위봉, 9시 10분

 

 

 

 

 

 

 

 

 

 

 

신선암 위능선, 9시 40분.

 

 

 

 

 

 

 

 

 

 

 

 

 

 

 

 

 

 

 

 

 

 

백운암, 10시 30분

 

 

 

 

 

 

 

 

 

 

 

 

 

 

 

 

 

 

 

 

 

 

 

 

 

 

 

 

 

 

 

 

 

 

백운암 마당을 지나 왼쪽 오르막 임도로 따라야 천룡사로 갈 수 있다.

 

 

 

천룡사, 11시 30분.

 

 

 

 

 

 

 

 

 

 

 

 

 

 

 

 

 

천룡사지, 11시 40분.

 

 

 

 

천룡사지에 있는 또 하나의 천룡사

 

 

 

 

보물 천룡사지 삼층석탑

 

 

 

 

경주 남산 천룡사지 삼층석탑은,

원래 무너져 주변에 흩어져 있었는데, 발굴 조사를 통해 위치를 확인하고,

1991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1층으로 된 바닥돌 위에 3층 몸돌을 올린 형식으로,

탑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진 것을 새로 만들어 올렸다.

이 석탑은 단층기단 위에 3층 몸체돌을 형성한 일반형으로,

축조 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9세기에 만들어지 것으로 추정되며,

탑의 높이는 6.75m이다.

 

천룡사는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신라의 대표적인 호국사찰*이다.

전하는 말로는 경주의 한 부부가 천녀와 용녀 두 딸을 위해 절을 세우고 딸들의 이름으로 삼았다고 한다.

또 중국에서 온 사신이 천룡사를 보고 이 절을 파괴하면 나라가 곧 망할 것이라 하였는데,

신라의 국운 을 따라 천룡사도 폐사되었다.

고려 정종 7년(1040) 최제안이 폐사된 천룡사를 다시 세워 조선 후기까지 번창하였다 한다.

 

호국사찰* 부처의 공덕으로 나라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하고자 건립한 사찰, 또 그런 역할을 하는 사찰

 

안내 표지금을 옮겨 적었다.

 

 

 

 

 

 

 

 

 

 

 

 

 

 

 

 

 

 

 

 

 

 

 

 

 

 

오랜만에 녹원정사 점심, 12시 10분.

054-748-3376, 010-7386-2222

 

 

 

 

 

 

 

 

 

 

 

열반재, 12시 45분.

 

 

 

 

 

 

 

 

 

 

 

 

관음암, 1시.

대웅전, 독수리바위, 산신각

 

 

 

 

 

 

 

 

독수리바위

 

 

 

독수리바위와 산신각

 

 

 

산신각

 

 

 

 

 

 

 

 

 

 

 

 

 

 

 

 

 

 

 

천우사, 1시 25분.

 

 

 

 

 

 

 

 

 

 

 

 

 

 

 

천우사 입구, 이무기능선 진입구

 

 

 

용장골 탐방지원센터, 

 

여기서 마쳤다.

오늘 9km를 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