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도서관

[스크랩] Re: `虎`자가 들어가는 지명

추연욱 2009. 12. 31. 15:38
  • '虎'자가 들어가는 지명
  • 원본 기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소링크 : http://media.daum.net/society/affair/view.html?cateid=1010&newsid=20091231073603815&p=ned 범골 호암산 용호동…전국 자연지명중 0.4%가 호랑이 헤럴드경제 | 입력 2009.12.31 07:36 '호미곶, 호구포, 범바위, 호암, 호동, 범골, 용호동….' 우리 자연지명중 호랑이와 관련된 지명은 얼마나 될까. 31일 국토지리정보원(원장 김경수)이 경인년(庚寅年) 호랑이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 자연지명 속에 포함돼 있는 호랑이 관련 지명을 조사해 본 결과, 전국 자연지명 10만509개 중 호랑이 관련 지명은 0.4%인 389개로 나타났다. 전라남도가 74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상북도가 71개, 경상남도가 51개 등의 순이었다. 종류별로는 마을명칭이 284개, 산의 명칭이 47개, 고개명이 28개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유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우선 호랑이 모양과 관련된 지명이 있다. 모양 관련 지명중에는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습을 비유한 복(伏, 엎드리다)자를 사용한 지명(복호, 호복, 복림 등)이 다수 있는데, 일례로 전남 고흥 과역면의 ´복호산`을 들 수 있다. 달이 지고 날이 새므로, 호랑이가 가지 못하고 엎드려 있는 형국이라는 유래를 가지고 있다. 또 한반도 전체를 호랑이로 묘사해, 호랑이는 꼬리의 힘으로 달리고 꼬리로 무리를 지휘한다고 하며 이 지역이 호랑이 꼬리부분에 해당한다고 하여 지명을 변경하게 된 경북 포항시 남구 대보면의 '호미곶'은 원래 '장기곶'이었던 곳으로 호랑이의 모양을 본떠서 지은 지명중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뒷산의 지형이 범이 웅크리고 있는 모양으로 마치 범이 마을을 지키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는 '범직이'(마을, 충남 연기군 남면), 포구가 있던 곳에 생긴 마을로 이곳에 있는 바위형태가 입을 벌리고 있는 호랑이 형상이라 하여 '호구포'(인천광역시남동구 논현동)라 하...더보기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쑥부쟁e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