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여행/도보 여행자료

우포늪 둘레길

추연욱 2015. 6. 12. 08:18

 

 

우포늪 둘레길

 

 

늪이란 물도 아니고 뭍도 아닌 일종의 '물웅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호수나 저수지와는 무엇이 다를까. 습지 관련 협약인 람사르협약에 따르면 늪은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간조(물이 완전히 빠진 상태)시 물의 깊이가 6m 이하여야 한다. 이 기준으로 보면 논이나 사막의 오아시스도 늪에 속한다.

또 사전에는 늪은 수심이 얕아서 바람에 의해 물이 교란되기 때문에 여름에도 정체되는 일이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포늪은 창녕 유어면 이방면 대합면 대지면 등 4개 행정구역에 걸쳐 있으며,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등 4개의 늪을 총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국내 최고(最古) 자연내륙습지로 물을 담고 있는 습지 면적은 2.313정도이며 습지보호구역의 면적은 8.547이다. 천연보호구역은 3.438규모다. 19983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됐고, 200810월 제10차 람사르총회 공식 탐방 습지로서 전국적 이목을 받은 바 있다.

람사르 협약은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보호에 관한 협약이다. 이란의 람사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에서 채택돼 그 도시의 이름을 땄다.

 

 

1. 우포늪 생태관(유어면 세진마을)

생태관에서 숲 속으로 들어가자 거대한 물웅덩이 같기도 하고, 얕은 저수지 같기도 한 우포늪이 펼쳐졌다.

늪 건너편에 우항산이라는 소를 닮은 산이 있는데, 산의 모양이 마치 소가 늪의 물을 마시고 있는 것처럼 보여 '우포'가 됐다고 한다.

대대제방으로 올라섰다. 1이상 곧게 뻗은 길에는 자전거가 다닐 수 있다. 왼쪽은 우포늪, 오른쪽은 대대마을의 들녘이다.

 

2. 대대제방이 끝나자 조그만 하천(토평천)을 가로지른다. 비가 많이 오면 통행이 제한된다.

3. 다시 제방으로 올라서면 사지포제방이다.

오른쪽은 사지포늪. 우포늪을 형성하고 있는 4개의 늪 모두 모래나 펄이 있지만 사지포늪은 특히 모래가 많다고 한다.

 

4. 오른쪽의 사지마을을 지나면 숲속으로 들어선다. 숲탐방로2길이란 이름이 붙여진 길이다. 중간에 아담한 정자도 서 있다.

 

5. 주매제방을 지나 소목마을 주차장에 이르렀다.

소를 닮은 우항산의 목 부분에 자리 잡았다고 해서 소목마을이라고 부른다.

소목마을을 가로지르는 숲탐방로3길이 있으나 취재진은 ()푸른우포사람들 건물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목포()를 돌아오는 길이다. 늪을 둘러싼 주변 마을에 소나무가 유난히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6. 우만제방 쪽으로 향하면 물가에 왕버들 군락지다.

우만제방을 돌아서 목포가 끝나는 목포제방까지 2남짓한 구간은 차량이 다니는 흙길이다.

조그만 개울에 놓인 징검다리를 건너면 이번에는 사초 군락지다.

물억새가 어른 키만큼 자란 사초 군락지를 지나면 편안한 자전거길을 만난다.

야트막한 산 위의 제1 전망대는 출발 장소와 얼마 떨어져 있지 않다.

 

한 바퀴 12km쯤 된다.

 

 


창녕행 버스는 오전 7(첫차), 750, 840, 9201010분에 있다. 1시간10분 정도 걸리고, 요금은 6700.


유어면 우포늪 행 버스는 창녕터미널을 나와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영신터미널에서 군내버스를 타면 된다.

우포늪 행 버스는 오전 6시 50, 8시, 오후 1시30분, 3시 등 5회이며,

우포늪 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버스는 오후 150, 520, 620(막차)에 있다.


창녕터미널에서 부산 서부터미널행 버스는 오후 520, 610, 650, 740, 830(막차)에 있다.

내비게이션 '우포늪 생태관'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