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여행/도보여행 후기

대운산/ 남창에서 서창으로- 2012년 9월 14일

추연욱 2012. 9. 14. 22:57

 

대운산/ 남창에서 서창으로- 2012년 9월 14일

 

 

 

대운산에서

 

 

해운대에서 9시 25분 기차를  탔다.

 

 

남창역, 10시 10분.

 

 

남창역(등록문화재 제105호)-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면 남창역길 40

 

1935년 12월 1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78년 역의 확장 및 온산선을 개통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창역사는 1935년에 건축된 소규모 목조 철도 역사로 건물 후면부 지붕의 중앙부에 두 개의 박공을 중첩시켜 전체 형태와 정면성을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일제강점기 지방역사의 형식 구조 및 공간구성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2002년 전면적으로 보수 정비하면서 평 슬레이트 지붕에서 맞배지붕으로 개량하였고, 창호 및 문을 교체하였다.

이때 좌측의 숙소건물을 내부로 연결하여 하나의 건물로 사용하고 있다.

보수정비로 인하여 비록 건물 안팎의 건물 재료는 바뀌었지만 평면의 형태는 준공당시와 변형이 거의 없으며 지붕을 제외한 입면의 재료 또한 바뀌었으나 건립당시의 형태는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근에 위치한 남창역의 관사도 주목할 만하다.



 

옹기마을 남창

 

 

버스정류장, 10시 15분.


 

상대마을 가는 10시 30분 버스를 탔다.

 

10시 45분. 상대마을 도착

여기가 대운산 등산 기점 중 한 곳이다.  

 

 

 

 

 

 

 

 

박치골을 따라 간다.

 

 

주인 없는 집에 들어가 보았다. 11시 10분.

 

 

 

 

 

 

호떡버섯?

 

 

박치골을 떠나 도통골로

 

 

 

 

 

 

 

 

 

 

 

 

 

 

 

 

 

 

 

 

 

 

 

 

 

 

 

 

 

 

 

 

 

 

 

도토라묵 수제품

 

 

 

 

 

 

 

 

 

12시 50분.

 

 

 

 

 

 

 

 

 

 

 

점심 억기 좋은 곳이다.

 

 

 

 

 

정상으포 오르는 계단

 

 

 

대운산, 2시 5분.

 

 

정상부에 마루가 깔려있다.

네 기억으로는 정상부는 널찍한 바위가 있었던 것 같은데,

 

 

 

 

 

 

 

 

 

 

 

 

 

 

 

 

 

 

임도를 만났다. 2시 35분.

임도는 만났다가 헤어지기를 여러 번.

 

 

 

 

범솔밭삼거리, 2시 40분.


 

 

 

 

 

 

 

대추남만디, 3시 20분.

 

 

 

 

 

 

 

 

 

 

 

 

 

 

 

 



 

 

 

 

 

 

 

대동아파트, 4시 30분.

 

 

 

 

정류장, 4시 40분

 

 

 

301번 버스는 5시 10분에 왔고,

6시 10분에 종점 부산대학교 정문에 내렸다.

 

 

조선탈국수 통막걸리

 

 

 

 

 

 

1. 상대마을에서 대운산

 

 

2. 대운산에서 서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