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일기

경주 나들이 - 2024년 9월 4일

추연욱 2024. 9. 4. 22:48

 

 

경주 나들이 - 2024년 9월 4일

 

 

- 분황사 백일초, 코스모스, 보물 당간지주~ 황룡사터~ 동궁과 월지~

월성 해자~ 동부지구 사적지대~ 계림~ 대릉원 -

 

 

 

부산 노포동터미널에서 7시 20분 출발 버스를 타서,

경주 시외버스 터미널 8시 10분 도착.

 

 

 

큰 길 건너 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8시 30분 출발 10번 버스를 타서,

 

 

 

분황사 정류장 도착, 8시 42분.

 

 

 

 

 

<소박사 TV>에서 캡춰

 

그래도 많이 더웠다. 그래서 오후 계획은 포기했다.

 

 

 

분황사, 분황사 백일초, 코스모스 

 

정류장 옆으로 백일초

 

 

 

 

 

 

 

 

 

 

 

 

 

 

 

 

 

 

 

 

 

 

 

 

 

 

 

 

 

 

 

 

 

 

 

 

 

 

 

 

 

 

 

 

 

 

 

 

 

 

 

 

 

 

분황사

 

 

 

 

 

 

 

 

국보 분황사 모전석탑

 

 

 

 

 

 

 

화쟁국사 비의 대좌

 

 

 

이 비대좌는 고려시대 만든 화쟁국사비의 대좌이다.

고려 숙종 6년(1101) 8월 원효와 의상이 동방의 성인인데도 불구하고 비석이나 시호가 없어 그 덕이 크게 드러나지 않음을 애석하게 여긴 숙종이 원효에게 大聖和諍國師라는 시호를 내리고 비석을 세웠다.

 

그 뒤 방치되었던 비신을 받쳤던 비대가 절 근처에서 발견되자,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이를 확인하고 비대좌 위쪽에 此新羅和諍國師碑蹟이라 써놓았다.

 

 

 

 

 

 

 

 

 

삼룡어변정

 

 

 

신라시대 만든 우물로 겉모양은 팔각형이고 내부는 원형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이 우물에는 세 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는데, 원성왕 11년(795) 당나라 사신이 이 우물 속에 사는 용을 세 마리의 물고기로 변하게 한 뒤 가져가는 것을 원성왕이 사람을 시켜 뒤쫓아가서 빼앗아 왔다고 한다.

그 뒤 삼룡어변정이라 부르게 되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원성대왕조에,

왕(원성왕)이 즉위한 지 11년 을해(795)에 당나라 사자가 서울에 와서 한 달을 머물러 있다가 돌아갔는데,

하루 뒤에 두 여자가 내정에 나와서 아뢴다.

“저희는 東池 · 靑池(청지는 동천사 샘이다. 이 샘은 동해의 용이 왕래하면서 불법을 듣던 곳이요, 절은 진평왕이 지은 것으로 오백성중과 오층탑과 田民까지 헌납했다고 한다.)에 있는 두 용의 아내입니다.

그런데 당나라 사자가 河西國 사람을 데리고 와서 우리 남편인 두 용과 분황사 우물에 있는 용까지 모두 세 용의 모습을 바꾸어 작은 고기로 변하게 하여 통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갔습니다.

바라옵건데 폐하께서는 그 두 사람에게 명하여 우리 남편들인 나라를 지키는 용을 여기에 머무르게 해 주십시오.”

왕은 하양관까지 쫓아가서 친히 연회를 열고 하서국 사람들에게 명령했다.

“너희들은 어찌해서 우리나라의 세 용을 잡아 여기까지 왔느냐. 만일 사실대로 고하지 않으면 반드시 사형에 처할 것이다” 그제야 하서국 사람들은 이 고기 세 마리를 내어 바치므로 세 곳에 놓아주자,

각각 물속에서 한 길이나 뛰고 기뻐하면서 가 버렸다.

 

 

 

분황사 금당 보광전

 

 

 

 

절을 나와서

 

 

 

 

보물 당간지주와 코스모스

 

 

 

 

 

 

 

 

 

 

 

 

 

백일초도 있고,

 

 

 

 

 

 

 

 

 

 

 

 

보물 분황사 당간지주

 

 

 

 

2020년 8월 25일 사진, 아때는 모두 황화코스모스였다.

 

 

 

 

간대 받침의 그 얼굴은 어디 갔나? 땅에 묻혀 버렸나.

 

 

 

 

2011년 4월에 찍은 사진.

 

 

 

 

 

 

 

 

 

 

 

 

황룡사터

황룡사 역사문화관

 

 

 

 

 

 

금당터 불상대좌들

 

 

 

 

진흥왕 35년(574) 금동장육삼존불(장육상과 2구의 협시불)이 주조되었다.

진평왕 6년(584) 중금당이 완성됨에 따라 16구의 제자상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황룡사 중금당 안에는 19구의 불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는 17구의 받침돌(대좌)만 존재한다.

장육상의 높이는 一丈六尺으로 5m 이상의 신라 최대 금동불상으로 추측된다.

 

설명 표지글을 옮겨 적었다., 편집자.

 

 

 

 

 

 

 

 

 

금동장육삼존불 받침

 

 

 

황룡사 목탑지

 

 

 

 

황룡사 목탑지에는 심초석과 64개의 초석이 있었으나, 현재는 62개 초석만 존재한다.

심초석은 황룡사 9층목탑의 가운데 기둥을 받치던 석탑이며, 현재 노출되어 있는 것은 초석을 덮고 있던 암석이다.

심초석은 동서 435cm 남북 300cm의 부정형의 긴 타원형이다.

두께는 104! 128cm로 무게는 약 30여 톤으로 알려져 있다.

 

1978년 발굴 조사시, 심초석 사리공에는 경문왕 12년(872)에 제작된,

찰주본기 명문이 적힌 금동사리함과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으며, 

심초석 하부에는 청동제 팔찌, 청동제 그릇 등이 발견되었다.

 

설명 표지글을 옮겨 적었다., 편집자.

 

 

 

 

 

 

 

황룡사터 남쪽 지역은 발굴 조사로 어수선하다. 

 

 

 

황룡사 역사문화관

 

 

 

 

 

 

 

 

 

 

 

 

석탑 부재 

 

 

 

전에는 몸돌과 지붕돌이 붙어 있는 이 석탑부재에 가까이 갈 수 있었는데,

 

2010년 4월에 찍었다.

 

 

 

 

 

 

 

 

 

 

 

 

 

 

 

 

 

 

 

 

 

 

 

 

 

 

 

황룡사 마루길을 따라 동궁과 월지로 간다.

 

 

 

 

 

 

 

 

동궁과 월지 발굴 조사

 

 

 

 

동궁과 월지, 9시 55분.

 

 

 

모과나무

옛날에는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 과일전 망신은 모과"라 했는데, 요즘 모과는 모양도 예쁘다.

 

 

 

월지에는 온통 노랑 어라연으로 덮혔다.

 

 

 

 

 

 

 

 

 

 

 

 

 

 

 

 

 

 

 

 

 

 

 

 

 

 

 

 

 

 

 

 

 

 

 

 

 

 

 

 

 

 

 

 

 

 

 

 

 

 

 

 

 

 

 

 

 

 

 

 

월성해자

 

 

 

 

 

 

 

 

 

 

 

 

 

 

 

 

 

 

 

동부지구 사적지대

 

 

 

 

 

 

 

 

 

 

 

 

 

 

 

 

 

 

 

 

꽃범의꼬리

 

 

 

나무수국

 

 

 

 

 

 

 

 

 

 

 

 

 

 

 

 

 

백접초(백가우라)

 

 

 

 

핑크뮬리(분홍쥐꼬리새)는 아직은 그린.

 

 

 

 

 

 

 

 

 

 

 

 

 

 

 

 

 

 

 

 

 

 

계림

 

 

 

 

사랑나무

 

 

 

 

 

 

 

계림의 맥문동은 꽃은 제법 피었지만 아직 엉성하다.

왕버들, 단풍나무 등 거목이 만드는 그늘에 땅바닥 맥문동 꽃에 빛이 잘 들지 않는다.

 

 

 

 

 

 

 

 

 

꽃무릇이 피었다.

 

 

 

 

 

 

 

내물왕릉

 

 

 

 

 

 

 

 

 

 

 

 

 

 

 

 

 

 

 

 

 

 

 

 

계림을 나왔다.

 

 

 

 

 

 

 

 

 

 

 

 

 

 

 

 

 

 

 

 

 

 

 

 

 

 

 

 

 

 

 

 

 

대릉원

대릉원 정문, 11시 45분.

 

 

 

 

 

 

 

 

 

 

 

 

미추왕릉

 

 

 

 

 

 

 

 

 

 

 

 

 

 

 

 

 

 

 

 

 

 

 

 

 

 

 

 

 

 

 

 

 

 

 

 

 

 

 

 

 

 

 

 

 

 

 

 

 

 

 

 

 

 

 

 

 

 

 

 

 

 

 

 

 

황남대총도 벌초를 끝내고 뒷처리 하는 듯.

 

 

 

 

 

 

 

 

 

 

 

 

 

 

 

 

 

 

 

 

 

 

대릉원 후문으로 나왔다., 12시 15분.

 

 

 

경주 시외버스터미널, 12시 30분.

 

 

 

12시 40분 버스를 타고 돌아왔다.

 

 

 

 

달마루 셀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