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여행/인도행

[부산/ 9월13일, 일요일] 마라톤숲길 따라 천문대, 분산성과 소도마을

추연욱 2015. 9. 10. 21:08

 

 

 

[부산/ 9월13일, 일요일] 마라톤숲길 따라 천문대, 분산성과 소도마을

 

 

 

 

 

김해장애인 종합복지관 앞

 

 

 

 

김해장애인 복지회관 앞에 왔다. 10시 5분.

 

 

 

 

 

 

 

 

 

 

 

 

 

 

 

 

 

 

 

 

 

 

 

 

 

 

 

 

 

 

 

 

 

 

 

 

 

 

 

 

시작한다. 10시 40분.

 

 

 

 

 

 

 

 

 

 

 

 

 

 

 

 

 

 

 

 

 

 

 

 

 

 

 

 

 

 

 

 애산정, 11시 20분.

 

 

 

 

 

 

 

 

 

 

 

 

 

 

 

 

 

 

 

 

 

 

 

 

 

 

 

 

 

 

 

 

김해천문대, 12시 5분. 

 

 

 

 

 

 

천문대 지붕에서 내려다 본 김해시 

 

 

 

 

 

 

 

분성산, 12시 20분.

 

 

 

 

 

 

 

 

 

 

 

 

 

 

 

 

 

 

 

 

 

 

 

 

 

 

 

 

 

 

 

 

 

 

 

 

 

 

해은사 앞 마당, 12시 40분.

 

 

여기서 점심,

수여니님, 물찬제비님, 신정님,

미리 도착, 오징어 무침,

푸짐하게 준비해 두셨다.

 

 

 

 

 

 

 

 

 

 

 

 

 

 

 

 

 

 

 

 

 

 

 

 

 

 

 

 

 

 

 

 

밥을 먹다가 하늘을 쳐다보았다.

아, 가을을가.

무언가를 그리워 해야 할 계절.

아! 가을인가.

 

 

 

 

 

 

 

 

오후 일정, 먼저 해은사 구경부터 시작한다. 1시 20분. 

 

 

 

 

 

 

 

 

 

 

 

 

 

 

 

 

 

 

 

 

 해은사 영산전

 

 

 

대왕전

 

 

 

대왕전 안에,

금관가야국 김구로왕과 왕비 허황옥의 영정을 모셨다.

 

 

 

 

 

 

 

 

 

 

 

 

 

 

 

 

 

 

 

 

 

 

 

 

 

 

 

 

 

 

 

 

 

 

 

 

 

 

 

 

해은사 산신각 

 

 

 

 적멸보궁이란 설명이 있다.

남방불교의 스투파다.

 

 

 

뒤의 능선이 신어산이다ㅣ

 

 

 

 

 

 

 

 

 

 

어제 비가 왔다. 저법.

하늘과 땅이 말끔하게 목욕했다.

 

 

 

 

벽공 碧空

 

이희승

 

손톱으로 툭 튀기면

쨍 하고 금이 갈 듯.

 

새파랗게 고인 물이

만지면 출렁일 듯.

 

저렇게 淸淨無垢를

드리우고 있건만.

 

이희승 시집, <박꽃 1947>에서.

 

 

 


 

 

 

 

 

 

 

 

 

 

 

 

 

 

 

 

 

 

 

 

 

충의각 앞, 1시 35분. 

 

 

 

충의각 안에는 이렇게 4기의 비가 있다. 

 

 

비의 내용은 이렇다. 

 

 

바라보아 가장 왼쪽에 있는 비에,

흥선대원군 영세불망비다.

이 비가 이 근처에 있는 흥선대원군의 글씨 "萬丈臺"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興宣大院君 李昰應(1820~1898)의 글씨 萬丈臺

 만장대는 분ㅅ나성에 있는 봉수대다. 

 

 

 

만장대에 따른 낙관.

"大院君印"이라 새겨져 있다.

 

 

 

 

 

 

 

 

 

 

 

 

 

 

 

 

 

 

 

 

 

 

 

분산성

 

 

 


 

분산성(사적 제66호) 

 

 

 

 

항아리, 또는 화분처럼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사진은 2014년 3월 5일에 찍었다.

 


 

여기에 고인돌도 한 기 있다. 

관리 상태가 엉망이다.

 

 

 

 

 

 

 

 

 

 

 

 

 

 

 

 

 

 

 

 

 

 

 만장대

 

 

 

바위에 "萬丈臺記念木

"天生萬丈臺 하늘이 만장대를 만들고

我植千年樹 나는 천년수를 심었다."

壬辰 孟春"이라 쓰여있다.

"壬辰"년이 어느 임진년인지는 조사해 봐야겠고,

 

담 안에 있는 나무가 "천년수"인 것 같다.

 

 

암벽에 글씨들이 있긴 한데,

읽기는 어렵다.

 

 

 

 

 

 

 

 

 

 

 

 

 

 

 

 

 

 

 

 

 

 

 

 

 

 

 

 

 

 

 

 

 

 

 

 

 

 

 

 

 

 

 

 

 

 

 

 

 

 

 

 

 

 

 

 

 

 

 

 

 

 

 

 

 

 

 

 

 

 

 

 

 

 

 

 

 

 

 

 

 

다시 천문대 앞에 왔다.

우리는 천문대에서 분성산, 분성산성 등을 돌아 왔다.

 

 

여기서 소도마을로 간다. 2시 20분.

 

 

 

 

 

 

 

 

 

 

 

 

 

 


 

Emile Noblot

Melody, Andantino

Emmanuel Pahud(1970~ ), Flute

Mariko Anraku, Harp 

 

 

 


 

 

 

 

 

 

 

 

 

 

 

 

 

 

 

 

 

 

 

 

 

 

 

 

 

 

 

 

 

편백숲 쉼터, 3시 15분.

 

 

 

 

 

 

 

 

 

 

 

 

 

 

 

 

 

 

 

 

 

 

 

 

 

 

 

 

 

 

 

 

 

 

 

 

 

 

 

 

 

이곳은 추운 곳인지?

아직도 단풍나무 꽃이 남아있다.

 

 

 

 

 

 

 

 

 

 

 

 

소도마을, 4시.

이름이 마을일 뿐, 마을이기 보다는 개인 별장이에 가깝다.

건물 3동이 보인다.

 

중심 건물인 듯한 선인당 

 

 

관리동인 듯한 허스름한 집.

 

큰 건물 

 

 

 

 

 

 

 

 

 

 

 

 


 

蘇塗 소도

 

蘇塗 소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西晉의 陳壽(233~ 297)가 편찬한 <三國志>인 것 같다.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十月農功畢 亦復如之 信鬼神 國邑各立一人 主祭天神 名之天君

又諸國 各有別邑 名之爲蘇塗 立大木 懸鈴鼓 事鬼神

諸亡逃至基中 皆不還之 好作賊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而所行善惡有異.……

늘  오월 파종을 마치고는 귀신에  제사지냈다.……시월 추수를 하고 나서도 역시 이렇게 했다. 귀신을 믿으며 여러 나라[國邑 마한은 54개 작은 나라들로 이루어졌다. 지금의 충청도, 전라도 전역, 경기도 일부를 차지하고 있었다.]에는 각기 한 사람을 두어 천신의 제사를 주관토록하니, 이를 이름하여 天君이라 한다.

또 나라마다 각각 별읍이 있어 이름을 소도라 한다. 큰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달아 귀신을 섬긴다.

사람들이 그곳으로 도망하여 들어오면 모두 돌려 보내지 않으니 (그러므로) 도둑질 하기를 좋아한다.

'소도'의 뜻은 '부도'와 비슷한테 선악을 행하는 것에는 (중국의 나라들과) 다름이 있다.

 

陳壽, <三國志> 제30, 魏書 30권 烏丸鮮卑東夷傳. 

 

<삼국유사, 제1권> 辰韓조에, 진한에서는 '마을'을 '道 도'라 한다고 하였다.

또 수풀이 우거진 신단을 '수두'라 하였는데, 이를 한자의 음을 빌려 '소도'라 썼다.   

 

양주동은 그의 저서 <고가연구>에서 蘇塗는 우리말 "수도, 수터"를 한자음을 빌려 적은 것이라 했다. 

곧 수[雄]를 제사하는 聖地, 聖基라 하였다.……

 

소도라는 지명은 지금도 있다. 옛 진한의 터인,

강원도 태백시 소도리, 태백산 등산기점의 하나인 당골광장 부근 마을이다.

 

마한에는 소도라는 제사가 있었다.

5월과 10월에 귀신에게 제사지내는 농경신앙이었는데, 나중에는 천군이 천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으로 변모하였다.

삼한에서는 족장이 정치적 지도력을 가졌고,

천군이라는 나라무당이 종교적 지도자로 굿을 주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어 있을믈 의미한다.

소도는 천신제사의 명칭이며, 祭場이기도 하였다.

 

巫師들은 어떤 어떤 영산 밑을 택하여 그곳에 신사를 짓고 둘레를 만들고 살았는데, 이 무사의 거주지역이 신역으로 되어 있어서 범죄자가 관헌을 피하여 그곳에 들어가도 따라가서 체포할 수 없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다. 

이 무사는 呪師임과 동시에 의사이며 예언자이며 이들은 산속에 복을 招福禳災의 神事를 맡아보며 불노장생의 도를 닦으므로 신인 또는 선인이라 불렀다. 

김득황, <한국종교사> , 한국사상연구소, 1973.   

 

孤雲 崔致遠(857~ ?) 지은 문경 <鳳巖寺 智證大師寂照塔碑(국보 제315호)에 소도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최치원은 불교가 들어오기 이전 우리나라 고대 착 종교를 "소도"라 하였다. 그러므로 소도는 삼한시대 이땅 사람들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다.

 

남북조시대 송나라 范曄(398~ 445)이 편찬한 <後漢書>에도 "소도"에 대한 기록이 있다.

<삼국지>의 기록을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소도"란 말이 전음되어 '솟대'가 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소도와 솟대는 전혀 다른 말이라는 견해도 있으므로,

여기서 그치기로 한다.

 

 

 

 

 

 

 

 

 

 

 

 

 

 

 

 

 

 

돌아간다. 4시 20분.

 

 

 

 

 

 

 

 

 

돌아오는 길에, 어떤 부자의 별장인듯,

나무가 하도 멋져 살짝 들어가 보았다.

 

 

 

 

 

 

 

우리의 종점, 윗 안금

 

 

 

 

 

 

 

 

 

 

 

 

 

 

 

 

그렇게 오늘의 일정은 끝났고,

집으로 돌아가는버스는 4시 45분 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