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여행/인도행

농다리~ 초평호~ 괴산 산막이길- 2015년 3월 21일

추연욱 2015. 3. 22. 06:39

 

 

 

농다리~ 초평호~ 괴산 산막이길- 2015년 3월 21일 

 

 

 

괴산호반 등잔봉에서

 

 

 

 

11시 30분, 농다리 주차장에 왔다.

4시간 20분을 달려왔다.

 

 

 

 

 

 

 

 

 

 

 

 

 

 

 

 

 

 

 

 

 

 

 

 

 

 

 

 

 

 

 

 

 

 

 

 

 

 

 

 

 

 

 

 

 

 

 

 

 

 

 

 

 

 

 

 

 

 

 

 

 

 

 

 

 

 

 

 

 

 

 

 

 

 

 

 

 

 

 

 

 

 

 

 

 

 

 

 

농다리를 건너 초평저수지로 간다.

 

 

 

 

 

 

 

 

 

 

 

 

11시 45분, 옹고개 서낭당

 

 

작은 고갯마루에 자리하고 있다.

서낭당은 "토지와 마을을 지켜주는" 신일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사람, 곧 여행자를 지켜주는 신이기도 하다.

이곳의 서당당에는 당집이 없고, 돌무더기와 서낭목만 있다.

서낭당의 가장 초기 형태이다.

 

 

초평저수지 둘레길에 들어섰다.

 

 

하늘에 걸린 다리,

하늘다리가지 갔다 돌아올 계획이다.

 

 

 

 

 

 

 

 

 

 

 

 

 

 

 

 

 

 

 

 

 

 

 

 

 

 

 

 

 

 

 

 

 

 

 

 

 

 

 

하늘다리에서

 

 

 

 

 

 

 

 

 

 

 

 

 

 

 

 

 

 

 

 

 

 

 

 

 

 

 

 

 

 

 

 

 

 

 

 

 

 

 

 

 

 

 

 

 

 

 

 

 

 

 

 

 

 

 

 

 

 

 

 

 

 

 

 

 

 

 

 

 

 

 

 

 

 

 

 

 

 

 

 

 

 

 

 

 

 

 

 

 

 

 

 

 

 

 

 

 

 

 

 

 

 

 

 

 

 

 

미선나무, 꽃이 피었다.

 

 

 

  

 

 

 

尾扇나무

 

尾扇은 대나무살과 명주로 만든 둥근 부채다. 가끔 만화영화에서 임금이나 용왕의 옆에 시녀가 들고 있는 하트 모양의 부채다. 미선나무의 열매가 바로 미선이라하는 부채의 모양과 비슷해 이런 이름이 붙었다.

 

미선나무는 세계적으로 11종만 있다. 물푸레나뭇과의 식물 중 미선나무속은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고, 종으로는 미선나무 하나뿐이다.

 

미선나무는 꽃이나, 꽃받침의 색, 열매의 모양에 따라 꽃이 분홍인 것은 분홍미선나무, 상아색인 것은 상아미선나무,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은 푸른미선나무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구분이 모호하여 큰 의미는 없다고 한다.

 

개나리와 닮은 점이 많지만 개나리에 비해 꽃이 작고 화관이 깊게 갈라지는 점이 다르다. 또 꽃에서 매우 달콤한 향기가 난다.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미선나무 군락지가 발견된 것은 천연기념물 제14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불법채취로 훼손되어 7년만에 해제하였다.

 

그후 미선나무 자생지가 새로이 발견되어, 발견되는 족족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현재, 천연기념물 제147, 충북 괴산군 송덕리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220호 충북 괴산군 추점리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221호 충북 괴산군 율지리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364호 충북 영동군 매천리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370호 전북 부안군 군락지

등 다섯 군데가 있다.

 

미선나무 열매

 


  

 

 

호호백발 할미꽃.

 

 

 

 

 

 

 

 

 

 

 

 

 

 

 

 

 

 

 

 

농다리(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8)는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굴티(중리) 洗錦川 에 있다.

 

농다리는 굴티마을 앞을 흐르는 洗錦川을 가로지르는 다리다.

다리라는 이름은 밟으면 움직이고 잡아당기면 돌아가는 돌이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 한다.

다리의 길이는 90m, 높이는 2m 50cm 안팎이다.

지금은 하상이 높아져 교각이 낮게 보여 거의 징검다리 수준이다.

 

두께가 각각 1m, 너비가 3m쯤 되는 교각들을 자연석을 축대 쌓듯이 안으로 오목볼록이 서로 물리도록 쌓았다.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쌓아올린 교각의 너비가 상판보다 넓으므로 튀어나온 교각의 양끝이 지네발처럼 보인다.

교각의 모양이 대칭으로 힘의 균형이 잘 유지된다. 교각 사이의 빈틈으로 물이 통과해 소용돌이 적다. 유선형으로 오므려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했고, 비가 많이 오면 잠수교가 된다.

이런 매우 과학적인 기술들로 인해 천년이 넘게 유지되어 왔다.

 

교각 위 한가운데 길이 1.7m, 두께 0.2m쯤 되는 돌판을 한개 또는 두개씩 걸쳐 상판으로 삼았다.

 

옛 기록에는 교각의 수가 28개였는데, 지금은 양쪽으로 두 개씩 줄어 24개이다. 28칸은 별자리 28수를 이용해 하늘의 세계를 지상에 구현하려는 상징이다

오랜 세월 지나는 동안 원형이 많이 손상되었다.

 

원시교량과 근대교량의 과도기의 교량이다. 탄소 연대 측정으로 고려말, 조선초에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함평에 있는 고막다리는 고려 제24대 원종(1259~ 1274 재위) 때 축조된 것으로 농다리는 형식상 고막다리보다 시대가 올라간다.

 

고려 제23대 고종 때(1213~ 1259 재위)의 권신 林衍(?~1270)이 고향 마을 앞에 놓았다고 한다. 이곳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굴티마을은 상산 임씨 세거지다. 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뒤를 이어 권세를 잡았던 임연이 태어난 곳이다. 이 마을에 임연 사당도 있다.

 

노인들 사이에 전하는 말에는 임연이 날마다 세금천에서 세수를 하고 있는데,

어느 추운 겨울날 세수를 하다 보니 젊은 부인이 내를 건너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었다. 임연이 까닭을 묻자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친정에 가는 길이라는 것이었다. 이를 딱하게 여긴 임연은 당장 용마를 타고 돌을 실어 날라 다리를 놓았다. 일을 마친 용마는 기운이 다 빠져 죽었는데 용마에 실렸던 마지막 돌이 떨어져 그대로 둔 것이 용바위라 전한다.

 

 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이 고구려로부터 낭비성을 되찾은 후 기념으로 놓았다는 전설도 있다.  김유신의 아버지 舒玄萬弩郡(충북 진천) 太守가 되어 이곳 진천에서 살았기 대문에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 졌을 것이다.

 

나라에 큰 변고가 있을 때면 농다리가 며칠씩 우는데, 1910년 경술국치 때, 한국전쟁 때도 며칠씩 울어 동네 사람들이 잠을 못 잤다고 한다


 

 

 

 

 

 

 

 

 

 

 

 

 

 

 

 

농다리 주차장으로 돌아왔다. 12시 50분.

 

 

 

 

 

 

 

 

 

버스를 타고, 1시.

 

 

 

산막이 옛길 주차장, 2시 5분.

 

 

 

 

 

 

 

 

 

점심을 먹고 시작하기로 한다. 2시 15분.

 

 

 

무슨 일이 있었을가?

 

 

 

 

 

 

 

 

 

 

 

 

 

 

 

 

 

 

이곳의 미선나무꽃은 분홍빛이 많다. 

 

 

 

 

 

 

 

 

 

 

 

 

 

 

 

 

 

 

 

 

 

 

 

 

 

 

 

 

 

 

 

 

 

 

 

 

 

 

 

 

 

 

 

 

 

 

 

 

 

 

 

 

 

 

 

 

 

 

소나무출렁다리, 3시.

 

 

 

 

 

 

 

 

 

 

 

 

 

 

 

 

 

 

 

 

 

 

 

 

 

 

 

 

 

 

 

 

 

 

 

 

 

 

 

 

 

 

 

 

 

 

 

 

 

 

 

 

 

 

 

 

 

 

 

 

 

 

 

 

 

 

 

 

 

 

 

 

 

갈림길, 3시 15분.

 

 

 

매바위

 

 

 

 

 

 

 

 

 

 

 

 

 

 

 

 

 

 

 

 

바위가 "山"자 모양이다.

 

 

 

괴산호를 배경으로.

 

 

 

 

 

 

 

 

 

 

 

 

 

 

 

 

 

 

 

호수 기슭에는 얼음도 남아있다.

 

 

 

 

 

 

 

 

 

 

 

 

 

 

 

 

 

 

 

 

 

 

 

 

 

 

 

 

 

 

 

 

 

 

 

 

 

 

 

 

 

 

 

 

 

 

땅에 코가 닿을 듯 가파른 오르막을 한참 올라와,

능선에 섰다. 4시 10분.

 

 

 

 

 

 

 

 

 

 

 

 

 

 

이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몇 걸음 가면 천장봉이다.

 

 

 

 

 

 

 

 

 

 

 

 

 

 

천장봉(437m)

 

 

 

 

 

 

 

 

 

 

 

 

 

 

 

 

 

 

 

 

 

 

 

 

 

 

 

 

 

 

 

 

 

 

 

 

 

 

 

 

 

 

 

 

 

 

 

 

 

 

 

 

 

 

 

 

 

우리는 왔던 길로 돌아가

한반도 전망대, 등잔봉으로 간다,

 

 

 

 

 

 

한반도전망대에서 바라본다. 4시 25분.

 

 

 

 

 

 

 

 

 

 

 

 

 

한반도 모습이리기보다는 버선 모양에 가깝다.

 

 

 

 

 

 

 

 

 

 

 

 

 

 

 

 

 

 

 

한반도 모양이든, 버선 모양이든 그건 상관없고,

 여기서 괴산를 바라보는 풍경은 일품이다. 

 

 

 

 

 

 

 

 

 

 

 

 

 

 

 

 

 

 

 

 

 

 

 

 

 

 

 

 

 

 

 

 

 

 

 

 

 

 

 

 

 

 

 

 

 

 

 

 

 

 

 

 

 

 

 

 

 

 

 

 

 

 

 

 

 

 

 

 

 

 

 

 

 

 

 

 

 

 

 

 

 

 

등잔봉(450m)에 왔다. 5시.

 

 

 

 

 

 

 

 

 

 

 

 

 

 

 

 

 

 

 

 

 

 

 

 

 

 

 

 

 

 

 

 

 

 

 

 

 

 

 

 

 

 

 

 

 

 

 

 

 

 

 

 

 

 

 

 

 

 

 

 

 

 

갈림길, 5시 35분.

이곳으로 돌아오는데 2시간 20분이 걸렸다 .

 

 

 

 

 

 

 

 

 

 

고인돌 쉼터, 5시 45분.

올라갈 때는 그냥 지나쳤고 내려돌 때 들었다. 

 

 

 

 

 

 

 

 

 

 

 

 

 

6시 올아오는 차에 올랐다.

 

 

차장 너머로 지는 해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