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신어산, 봉황대, 수로왕릉, 분성산성- 2019년 12월 16일
8시 55분, 은하사 주차장에서
절 구경은 내려와서 하기로 하고, 천진암으로 간다.
1. 신어산 산행
천진암 주차장, 9시 15분.
천진암, 9시 30분
신령 거북바위, 10시 15분.
신어정, 10시 40분.
신어산, 10시 45분.
동림사 일주문, 12시 5뷴.
12시 15분 은하사 주차장으로 돌아와,
2. 은하사 구경
연못 의 관세음보살 입상 뒤에 왜가리
움직임이 없어 모형이라 생각했는데,
한참 지켜보니 조금 움직였다.
그리고 또 움직임이 없어, 죽을 준비를 하는가?
대웅전 안에는 관세음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그런데 손갖춤[手印]은 아미타 상품중생인이다.
그러니 이 보살상은 부처와 보살이 합쳐진 상이다.
이런 예는 운문사 관음전 불상이 있다.
이 절집은 '대웅전'이 아니라,
원통전이나 원통보전이라 해야 맞다.
대웅전 마당 한 구석에 족보를 알 수 없는 이상한 탑
그 왜가리, 절 구경하고 오니 가버렸다.
1시 5분, 점심 먹으러.
3.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
2시 25분, 봉황대 주차장
如意閣
여의낭자 영정
여의각 현판에
"菁南濟峯"이란 관지가 있다.
여의목
4. 수로왕릉(사적 제73호)
3시 15분
홍살문[紅箭門]
능묘, 궁전, 관아 앞에 세우는 붉은 묽마을 칠한 나무문을 말한다.
중간에는 태극문양을 그려넣고 양쪽에는 화살 모양의 묽은 나무를 세웠다.
신성한 구역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경의를 표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신도비
|
|
수로왕릉 정문 '納陵正門'
쌍어무늬
|
|
숭정각
수로왕과 왕비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수로왕과 왕비 허황옥의 영정
숭선전, 수로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셨다.
안향각은 1824년에 건립되었다.
춘추제례에 쓸 香과 초를 국가에서 하사받아 보관하는 곳이다.
전사청을 제례에 필요한 제수와 제기를 보관하는 곳이다.
숭안전
가락국 2대에서 부터 8대 까지의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이다.
이 기념물은 본디 구지봉에 있었다.
김수로를 위시한 5가야의 시조가 알로 태어난 것을 상징하는 기념물이다.
탄생을 상징하는 기념물이 왜 탄생의 장소가 아닌 이곳 죽음의 장소에 있는지 의문이다.
또 9간을 상징하는 용 9마리도 있었던 듯한데, 보이지 않는다.
봉황동 유적 주차장, 4시.
5. 해은사
4시 25분.
대왕전
해은사 대왕전에 모신 수로왕과 왕후의 영정
이 그림은 지금은 없어진 聖祖寺에서 가지고 왔다 한다.
|
적멸보궁
불상 아래쪽에 있는 부조들은 힌두교의 신들이다.
우리나라 탑의 상층기단에 있는 팔부신중과 같다.
6. 분성산성
충의각, 4시 35분.
"萬丈臺", 흥선 대원군이 썼다. 대원군의 낙관도 보인다.
바위에 "萬丈臺記念木/ 天生萬丈帶 我植千年樹/ 壬辰 孟春"이라 쓰여있다.
담 안에 있는 나무가 천년수인 것 같다.
만장대에서 본 신어산
분성산성(사적 제66호)
5시 20분, 해은사 앞에서
6시 10분, 여기서 저녁을 먹었다.
'산행 > 산행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지곡 숲길/ 만덕역~ 삼광사~ 야구장- 2020년 1월 1일 (0) | 2020.01.01 |
---|---|
운봉산- 2019년 12월 21일 (0) | 2019.12.22 |
금정산, 상계봉 둘레길- 2019년 12월 13일 (1) | 2019.12.17 |
금정산 윗박능선- 2019년 12월 7일 (0) | 2019.12.09 |
금정산 보물찾기- 2019년 11월 30일 (1) | 2019.11.30 |